반응형

랜덤 확률은 우리의 일상생활이나 게임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듯이,

프로그래밍에서 굉장히 많이 쓰이는 것 중 하나이다.

 

이러한 랜덤 확률을 만드는 메소드인 Math.random()에 대해서 알아보자.

 

Math.random()이란?

0 이상 1 미만의 구간에서 부동 소수점 난수를 생성하는 함수이다.

(0.0 <= x < 1.0, 즉, 실수(double) 값을 리턴)

 

그럼 이제 확률을 구현해보자.

예를들어 70%의 확률로 성공확률이 있다고 해보자.

1
2
3
4
5
6
7
if (Math.random() <= 0.7) {
             result.setText("성공");
            } else {
           result.setText("실패");
            }
cs

이런식으로 하면된다.

 

Math.random() 메소드는 0부터 1사이 소수를 섞으니까

그 난수가 0.7보다 작거나 같으면 70%의 확률로 성공이 되는 것이다.

하지만 난수가 0.7보다 크다면 30%의 확률로 실패가 되는 것이다.

 

간단하지만 확률이 필요할 때 요긴하게 사용하길 바란다.

 

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.

반응형

+ Recent posts